그랜드캐니언에서 느낀 자유, 협곡 위를 나는 꿈

애리조나 북부의 거대한 틈, 그랜드캐니언. 수백만 년의 바람과 강물이 새긴 지구의 일기장을 마주하며, 인간의 존재와 시간의 무게를 성찰한다. 관광지를 넘어, 자연이 전해준 진짜 기록을 담은 수필.

“흙길과 소똥, 그리고 사라진 친구 소똥구리”

시골 흙길과 소달구지, 그리고 그 아래 살던 소똥구리. 아스팔트와 울타리에 밀려 사라졌지만, 최근 다시 복원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사라진 풍경과 곤충의 삶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함께 지어야 할 지붕을 성찰하는 수필.

소년과 한우, 그리고 컴퓨터 앞의 나

어릴 적 소와 함께 걷던 들판의 워낭 소리, 그리고 지금 컴퓨터 앞에서 듣는 키보드 소리. 세월은 흐르지만, 그 안에 담긴 신뢰와 사색은 이어진다. 소년의 기억에서 디지털 시대까지, 삶의 고삐를 성찰하는 수필.

“빛나지 않아도 괜찮은 사람의 이야기”

세상은 눈에 띄는 빛으로만 가득 차 있지 않다. 조용히 여백을 품고, 누군가의 숨 쉴 틈이 되어주는 사람도 있다. 평범함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빛과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수필.

불타는 산, 돌아오는 연어, 그리고 옐로스톤에서 배운 것

미국 최초의 국립공원, 옐로스톤. 간헐천의 폭발, 도로 위의 들소, 불타는 숲, 연어의 귀향까지. 인간이 아닌 자연이 주인공인 이곳에서 ‘순리와 보호’라는 철학을 배운다. 여행을 넘어 삶의 교훈을 남긴 옐로스톤 이야기.

“AI가 과외 선생님이 된 어느 날”

도서관에서 만난 한 학생은 AI 과외로 공부하고 있었다. 틀려도 혼나지 않고, 몇 번을 물어도 짜증내지 않는 인공지능. 그러나 위로와 따뜻한 손길은 결국 사람의 몫이었다. AI 시대에도 변하지 않는 배움의 본질을 묻는 수필.

결과보다 과정이 아름다운 이유

우체국 앞에서 떠올린 손편지는 삶을 닮아 있었다. 결과는 단지 도착일 뿐, 그 과정이 진짜 의미다. 묵묵히 하루를 버티는 사람, 끝까지 문제를 붙잡는 아이처럼 보이지 않는 과정 속에 삶의 무게가 담긴다. 우리는 오늘도 그런 편지를 기다린다.

“나는 왜 사람들 속에서 더 외로울까”

사람 속에서 예민하게 반응하며 지쳐왔던 시간들. 하지만 그것은 사람을 싫어해서가 아니라, 쉽게 물들어버리는 나를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다. 고요는 회피가 아닌 존엄이며, 혼자는 사랑을 거부한 게 아니라 더 깊이 기다리는 또 다른 방식임을 깨닫는다.

삶의 구석에서 피어난 곰팡이 꽃

습한 자취방 벽에 피어난 곰팡이는 지워야 할 얼룩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삶을 닮은 은유가 되었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는 곳에서 자라며 버티는 곰팡이의 모습은, 한때 멈춰 있던 나의 시절과 닮아 있었다. 못생겼지만 진짜였고, 결국 그 역시 꽃일 수 있다는 깨달음을 주었다.

초록 들판 속으로 도망친 하루 – 강화도에서 찾은 쉼

목적 없이 떠난 강화도 길에서 만난 초록 들판. 바람에 흔들리는 볏잎은 지친 마음을 내려놓게 하고, 잊고 있던 기억과 시간을 되살려준다. 초록은 아무 말 없이 곁에 있어 주는 존재. 그것만으로도 다시 숨 쉴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