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는 다 늑대야.”
이 말, 평생 안 들어본 남자는 없을 거다.
실연당한 친구들이 술자리에서 흔히 던지는 말.
웃으며 넘기지만… 나는 가끔 묻는다.
“그 늑대랑 있었던 건 누구였을까?”
바람을 피운 남자가 있다면,
그와 몰래 만난 누군가도 있는 법이다.
누군가는 배신당하고, 누군가는 설레고.
이중에 누가 더 나쁜지, 나는 쉽게 말 못 하겠다.
사랑은 원래 그렇게 엇갈린다.
같은 사람이 누군가에겐 전부지만,
또 다른 이에겐 도저히 못 견딜 존재가 된다.
예전에 나도 그런 관계를 끝낸 적이 있다.
“너 같은 인간이랑은 못 살겠어”라는 말까지 들으며.
그런데 몇 달 뒤,
그 사람은 다른 남자와 행복한 얼굴로 사진을 올렸다.
그걸 보며 생각했다.
“내가 못 맞춘 퍼즐 조각을, 누군가는 딱 맞게 끼웠구나.”
요즘은 드라마 속 순애보가 오히려 현실 같아 보일 때가 있다.
폭싹 속앗수다에서는 강철 박보검이 끝까지 한 사람만 사랑한다.
모든 갈등과 유혹을 이겨내고, 흔들림 없이.
다른 인물들이 갈팡질팡하는 가운데, 그는 꺾이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사랑은 빛난다.
진심은 드물기에 더 눈에 띄고, 상대적이기에 더 아름답다.
사랑이란,
절대적인 성품보다 상대적인 궁합이 더 중요한지도 모른다.
내가 부족해서 망가진 관계도 있고,
상대가 내게 과분했던 순간도 있었다.
그래서 이제는 쉽게 말하지 않는다.
누가 옳고, 누가 나쁘다고.
친구가 또 말한다.
“남자는 결국 다 똑같아.”
나는 웃으며 이렇게 답한다.
“그래도 누군가에겐,
내가 그 사람의 따뜻한 겨울이 될 수도 있잖아.”
*관련글 보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