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수필

다시 나를 껴안다 – 어깨 석회건염이 내게 가르쳐준 것

 

언제부터였을까.
왼쪽 어깨가 묵직하게 말 없이 아팠다.
단순한 뻐근함이라 여겼다. 나이 들면 흔한 일이라며 넘겼다.

그러다 어느 새벽, 날카로운 통증이 어깨를 찢었다.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도 못했다. 이불 속에서 소리 없이 신음했다.
병원에서는 ‘석회성 건염’이라고 했다. 처음 듣는 이름.
몸이 보내온 경고였고, 나는 그걸 너무 오래 무시해왔다.

살면서 한 번도 제대로 쉬어본 적 없었다.
언제나 가족 먼저, 일 먼저였다.
‘나는 괜찮다’는 말로 나를 밀어붙였다.
가장이라는 이유 하나로.

그런데, 이번에는 참는다고 해결되지 않았다.
팔이 올라가지 않았고, 양치도 혼자 힘들었다.
한 벌 셔츠를 입는 일조차 힘에 부쳤다.

치료실 한쪽,
어깨에 찜질팩을 얹고 벽을 바라보던 그 순간,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 몸은 왜 이렇게까지 말하기 전엔 쉬지 못했을까.”

그날 저녁, 아내가 내 팔을 살피며 조심스럽게 물었다.
“이렇게까지 아픈 걸 왜 이제 말했어?”
말투는 평소와 다르지 않았지만, 눈빛이 달랐다.
그 눈빛 안에 걱정, 미안함, 애틋함이 동시에 스며 있었다.

그때 알았다.
가족은 내가 ‘버티는 사람’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으로 있어주길 바란다는 걸.

그날, 치료를 마치고 병원 복도에 앉았다.
조용히 내 어깨를 두 팔로 감쌌다.
누군가에게 보여주려는 몸짓이 아니라,
내가 나를 다독이는 첫 번째 동작이었다.

그 이후로는 다르게 살기로 했다.
느릿하게 셔츠를 입고,
천천히 창밖을 바라보고,
작은 통증에도 귀를 기울이기로.

그리고 매일 내게 말한다.

“괜찮아. 이제 너도 돌봄을 받아야 할 사람이라는 걸 잊지 마.”

 

*관련글 보기

bungpoet

Recent Posts

사이버 운세를 읽으며 – 디지털 화면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이야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20시간 ago

가을 저수지의 파문처럼 – 말 없는 시간 속 이해에 대하여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2일 ago

장독대 앞 정화수, 어머니의 새벽 기도 — 잊히지 않는 삶의 풍경

새벽마다 장독대 앞 정화수 위에 기도하던 어머니. 그 조용한 떨림이 내 안에서 지금도 살아 숨…

3일 ago

“가장 사랑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날, 나는 다시 태어났다”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4일 ago

“한 달 시한부, 청년의 미소에 피어난 은행잎 — 삶을 노래한 마지막 가을”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

5일 ago

“늙는다는 건 남겨두는 일 – 어머니의 마지막 고무줄”

늙으신 어머니가 바지 고무줄을 묶는 장면에서 시작되는 감성 수필. 늙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와 남겨진 말들을…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