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평 남짓한 반지하방,
그곳에서 나는 몇 달을 버텼습니다.
햇볕은 들어오지 않았고,
세상도 나를 들여다보지 않았습니다.
사업이 망했고, 가족과 사람들도 떠났습니다.
마흔을 넘긴 나이에 남은 건
신용불량자라는 이름과,
받지 않는 전화번호 몇 개뿐이었습니다.
“나는 끝났구나.”
그 생각이 목구멍까지 차오르던 밤이 있었습니다.
그날, 마지막 남은 오토바이를 타고
거리에 나섰습니다.
그게 내 첫 퀵 서비스 일이었습니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오토바이로 물건이나 나르면서 뭘 그리 의미를 두냐고.”
하지만 그들은 모릅니다.
처음으로 배달한 건
어린 아이가 기다리는 생일 케이크였습니다.
얼마나 귀하게 들고 갔는지 모릅니다.
박스 위에 떨어질까 봐
내 숨조차 아껴가며 달렸습니다.
어떤 날은
응급실로 약을 보내야 했고,
어떤 날은
지방에서 올라온 고인의 유품을
조심스럽게 가족에게 전달했습니다.
그때 느꼈습니다.
내가 옮기는 건 단지 ‘물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사정, 안타까움, 사랑, 기다림이라는 걸.
그걸 지켜주는 게 내 일이라는 걸.
어떤 날은 빗속에서
장갑 안까지 물이 찼고,
어떤 날은 배달을 마치고 나서야
손끝이 얼어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런 날일수록
나는 살아 있음을 느낍니다.
누군가를 향해 달릴 이유가 있다는 건
죽은 줄 알았던 마음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는 증거니까요.
인생은 목적지가 아니라,
‘도착하려는 의지’ 그 자체가 삶이라는 걸
나는 도로 위에서 배웠습니다.
내가 도착할 곳이 누군가의 안심이고,
누군가의 눈물이고,
기다림이라면—
이 일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말합니다.
“그 기사님이라면 믿고 맡겨요.”
이 한마디가 나를 다시 일으켜 세웁니다.
나는 다시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다시 사회와 연결되어 있다는 걸
달리는 매 순간마다 느낍니다.
이제 나는 압니다.
나는 물건을 옮기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나는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사라질 뻔한 자신을 되찾아준 사람입니다.
그리고 나는 오늘도 달립니다.
비록 이름은 포장지에 적히지 않지만,
그 안엔 나의 진심이 고스란히 들어 있습니다.
*관련글 보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