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수필

“문은 마음 안에 있었다 – 서산 개심사에서”

 

충남 서산, 개심사.
벚꽃이 진 뒤 찾아온 절은
소란 대신 깊이를 건넸다.

입구에 서 있는 두 개의 돌비석.
장식도, 이름도 없는 이 돌덩이를
누군가는 ‘문’이라 불렀다.

“이건 여는 게 아니라, 지나가는 문입니다.”
그 말을 곱씹으며 걸음을 옮긴다.
눈앞에 펼쳐지는 고요가
천천히 내 안의 소리를 지운다.

우린 늘 눈에 보이는 문만 문이라 여긴다.
경첩 없는 문은 없다고 믿고,
틀 없는 길은 헤맨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긴 다르다.
젖은 돌바닥, 흔들리는 향냄새,
계단 틈에 낀 시간들이 문이 된다.
문이 열리는 게 아니라
내가 열리는 곳이다.

계단은 반듯하지 않다.
비틀린 돌과 구부러진 나무뿌리가
자꾸만 발을 붙잡는다.
그 울퉁불퉁함 속에서
오히려 중심을 더 또렷이 찾게 된다.

대웅전 앞에선 누구나 말이 없다.
한 사람은 고개를 숙이고,
다른 사람은 오래 기왓장을 만진다.
모두 각자의 문을 지나고 있었다.

기왓장 틈에서 자란 잡초.
아무도 돌보지 않았지만
스스로 뚫고 나왔다.
단단한 것 밑에서도 길은 열린다.
그건, 삶도 마찬가지다.

절 안 어딘가에는
묵묵히 앉아 있는 수행자들이 있겠지.
그들의 눈빛은 말을 건네지 않아도
마음 깊은 곳에 맑게 스민다.

나는 그 눈을 보지 못했지만
그 맑음이

문득 내 안에 번졌다.

돌아가는 길.
한쪽으로 휘어진 소나무가 보인다.

처음엔 꺾인 줄 알았지만,
다시 보니 빛을 향해
방향을 튼 것이었다.

나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였다.
바람 한 줄기가
문을 지나듯 내 안을 스쳐갔다.

 

*관련글 보기

bungpoet

Recent Posts

“편견이라는 철사: 멸치를 먹는 토끼가 가르쳐준 것”

초식동물이라 믿었던 토끼가 멸치와 돼지고기를 먹는 순간, 익숙했던 상식이 무너졌다. 우리가 만들어낸 편견이라는 철사 안에서…

3시간 ago

“사막을 걷는 법: 낙타처럼 천천히, 그러나 단단하게”

사막처럼 메마른 일상 속에서, 낙타는 어떻게 버티고 나아갈까. 작은 오아시스에서 배우는 느림과 절제, 그리고 삶의…

1일 ago

사이버 운세를 읽으며 – 디지털 화면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이야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2일 ago

가을 저수지의 파문처럼 – 말 없는 시간 속 이해에 대하여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3일 ago

장독대 앞 정화수, 어머니의 새벽 기도 — 잊히지 않는 삶의 풍경

새벽마다 장독대 앞 정화수 위에 기도하던 어머니. 그 조용한 떨림이 내 안에서 지금도 살아 숨…

4일 ago

“가장 사랑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날, 나는 다시 태어났다”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