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수필

십자가를 진다는 것의 진짜 의미

 

내 어깨 위엔 늘 무언가가 얹혀 있었다.
처음엔 이름도 없고, 형태도 없었다.
그저 **‘무겁다’**는 감각 하나만 또렷했다.

어릴 적엔 그것이 부모의 한숨이었고,
사춘기엔 나 자신에 대한 모호한 분노였다.
그리고 지금은, 말하자면,
삶이라는 이름의 깃발이다.

사람들은 말한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가라.”

그 말이 어쩐지 나를 불편하게 만들던 시절이 있었다.
왜 나는 평생 고통을 등에 메고 살아야 하는가.
왜 하필 십자가인가.
인간이 짊어질 짐은
늘 고통이어야만 하는가.

그러다 문득, 오래된 기도문을 떠올렸다.

“주여, 제가 짊어질 것을 주소서.
저를 증명할 수 있는 무게를.”

그제야 깨달았다.
인간은 스스로를 ‘감당하는 존재’로 증명해온 생명체라는 것을.

욕망, 시기, 질병, 불안, 후회, 죄책감.
이 모든 감정은 한 사람이 살아 있다는 증표였다.

사랑하고자 하기에 욕망하고,
사랑받고자 하기에 시기하며,
누군가의 고통을 보고 아파할 줄 알기에 걱정도 한다.

결국 이 모든 건
‘살아 있음’의 반응이다.

어느 날, 정류장에서 우연히 본 노부부가 있었다.
남편은 허리가 굽어 아내보다 작았고,
아내는 그의 손을 꼭 잡고 천천히 걷고 있었다.

눈빛 하나로도 서로의 십자가를 읽어내는
그들의 뒷모습에서,
나는 처음으로 십자가가 사랑이 될 수 있다는 걸 배웠다.

그때 문득, 알게 됐다.

내가 짊어졌다고 생각했던 그 ‘십자가’는
사실 나를 짓누르는 짐이 아니라,
나를 이끌어온 깃발이었다는 것을.

고통은 나를 망가뜨리는 무게가 아니라,
내가 어디쯤 와 있는지 알려주는 표식이었다.

“십자가란, 나를 짓누르는 짐이 아니라,
내가 지키고자 하는 것의 무게다.”

그 사실을 받아들이는 순간,
삶이 버거운 것이 아니라
깊은 것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어떤 이는 삶을 견디며 살고,
어떤 이는 삶을 통과하며 살아간다.

우리 모두 짐을 진다.
그러나 그 짐에 이름을 붙이는 순간,
그것은 단순한 무게가 아니라
내가 선택한 깃발이 된다.

그리고 그 깃발은,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게 하는
이유가 되어줄 것이다.

이제는 묻고 싶다.

당신이 지고 있는 그것은,
짐입니까?
아니면 깃발입니까?

 

*관련글 보기

bungpoet

Recent Posts

사이버 운세를 읽으며 – 디지털 화면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이야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6시간 ago

가을 저수지의 파문처럼 – 말 없는 시간 속 이해에 대하여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1일 ago

장독대 앞 정화수, 어머니의 새벽 기도 — 잊히지 않는 삶의 풍경

새벽마다 장독대 앞 정화수 위에 기도하던 어머니. 그 조용한 떨림이 내 안에서 지금도 살아 숨…

2일 ago

“가장 사랑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날, 나는 다시 태어났다”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3일 ago

“한 달 시한부, 청년의 미소에 피어난 은행잎 — 삶을 노래한 마지막 가을”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

4일 ago

“늙는다는 건 남겨두는 일 – 어머니의 마지막 고무줄”

늙으신 어머니가 바지 고무줄을 묶는 장면에서 시작되는 감성 수필. 늙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와 남겨진 말들을…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