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본래 다리를 놓기 위해 태어났을 것이다.
내 말이 그대에게 닿아 그대의 말이 되고,
그대의 말이 내게 와서 나의 말이 되는 순간,
우리는 서로의 세계를 건넌다.
말은 그 다리 위를 오가는 발자국이다.
어린 시절 친구에게 건넸던 서툰 인사.
엄마가 새벽에 속삭이듯 해주던 위로.
그 말들이 내 안에 불을 켰다.
언어는 작은 등불이었다.
그러나 어느 날부터 언어는 다리보다 돌멩이에 가까워졌다.
회사 회의 자리에서 나는 의견을 내었고,
동료가 맞장구를 쳤다.
그 순간까지는 좋았다.
하지만 그 말들이 모여 제3자를 향할 때,
언어는 이미 ‘우리의 말’이 되어 있었다.
더 이상 나의 것도, 동료의 것도 아닌,
하나의 깃발.
그 깃발은 누군가를 향해 휘둘려졌다.
언어가 무기로 변하는 순간이었다.
큰 언어는 목소리가 크다.
뉴스의 헤드라인, 거리의 확성기, 다수가 외치는 구호.
작은 언어는 목소리가 작다.
잠 못 이루는 밤의 메시지,
길가에서 들려오는 한숨,
친구의 농담 한 줄.
우리는 큰 언어를 좇고 작은 언어를 흘려보낸다.
그러나 큰 언어가 세상을 흔들 때,
작은 언어는 한 사람을 살린다.
힘은 크지만 마음을 잃은 언어와,
힘은 약하지만 진심을 담은 언어.
우리는 어느 쪽을 더 믿어야 할까.
던져진 말은 주인을 떠난다.
가볍게 던진 농담이
누군가의 상처가 되어 돌아온 적이 있다.
설명하려 했지만 이미 늦었다.
말은 공중에서 날개를 달고
제멋대로 편을 짓는다.
중간은 없다.
어느 편에 설 것인가를 강요받는다.
언어는 다리를 지우고 담장을 세운다.
말이 많아질수록
우리는 서로에게 가까워질까?
아니다.
말이 쌓이면 탑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골짜기가 된다.
그 골짜기에는 메아리만 가득하다.
사람들은 오직 자기 목소리만 듣는다.
타인의 말은 사라진다.
그러나 나는 한 장면을 잊지 못한다.
오랜 다툼 끝에 등을 돌린 친구와의 재회.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서 있던 순간,
그가 조용히 말했다.
“밥이나 먹자.”
그 말 한마디가 벽을 허물고
다리를 놓았다.
언어는 여전히 다리가 될 수 있었다.
나는 여전히 묻는다.
우리가 던지는 말은
정말 누구에게 닿고 있는가.
편을 가르기 위해 쓰이고 있는가,
다리를 놓기 위해 쓰이고 있는가.
언어는 다리일 수도, 돌멩이일 수도 있다.
그 선택은 언어의 몫이 아니라
우리의 몫이다.
오늘 나는 작은 언어 하나를 붙잡고 싶다.
늦은 밤 안부를 묻는 짧은 말,
길가의 농담 한 줄,
누군가의 등을 살짝 밀어주는 속삭임.
그런 작은 언어들이 모여
편가르기의 골짜기 위에도
언젠가 다리를 놓을 수 있지 않을까.
언어가 탑이 될지,
골짜기가 될지,
다리가 될지는—
끝내 우리가 어떻게 말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당신에게 묻는다.
당신의 언어는 오늘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관련글 보기
사막처럼 메마른 일상 속에서, 낙타는 어떻게 버티고 나아갈까. 작은 오아시스에서 배우는 느림과 절제, 그리고 삶의…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