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수필

“꼰대라떼의 고백: 젊은 세대 앞에서 멈칫한 날”

 

나는 내 생각이 유연하다고 믿어왔다.
젊은이들을 존중했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려 애썼으며,
내 기준이 그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기를 바랐다.

그런 나를 보며 친구들은 “너는 안 늙는다”고 말하곤 했다.

어느 겨울날, 교실에서 수업 중 아이들과
‘추억’에 대해 이야기 나누던 순간이었다.

“나는 어릴 때 달력을 찢어 연을 만들었단다.
갈퀴살 하나하나 깎아서….”

내 말에 한 학생이 고개를 들었다.

“우린 드론 날려요.”

말은 짧았지만, 그 표정은 길었다.
그 말에 나는 잠시 멈췄고,
창밖의 바람만 바라봤다.

그 순간, 내 기억 속의 연이
잠시 흔들리며 멀어지는 느낌이었다.

며칠 뒤, 딸과 함께 길을 걷다
젊은 여성들이 담배를 피우는 장면을 마주했다.

나는 미간을 찌푸리며 말했다.
“요즘은 여자들도 담배를 피우는구나.”

딸은 내 눈을 가만히 보며 물었다.
“아빠는 왜 여자한테만 놀라?”

그 말에 나는 말을 잃었다.
그 침묵은 길었고, 생각보다 묵직했다.

그날 밤, 오래된 기억 하나가 떠올랐다.
대학교 시절, 내 앞에서

긴 머리를 묶고 담배를 꺼내 들던 동기.

당시 나는 ‘멋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왜 지금은 다르게 느껴졌을까.

시간이 바뀌어서일까?
아니면 내가 바뀐 걸까?

나는 이제 안다.
나이가 든다는 건 단지

세월이 흐르는 일이 아니다.

시간이 쌓일수록 우리는
기준이라는 이름의 벽을 하나씩 더 세운다.

젊음을 이해한다고 믿었던 그 마음조차,
결국은 과거에 기대어 있었음을 인정해야 했다.

나는 여전히 연을 좋아한다.

종이 결을 따라 흐르는 바람,

손끝으로 느끼는 하늘의 진동.

하지만 이제는, 그 연이
가끔은 실없이 날아가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드론처럼 날렵하지 않아도,
엉성한 꼬리를 달고도
하늘을 향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사람은 누구나 조금씩 늙는다.
문제는 몸보다
생각이 먼저 굳는다는 데 있다.

나는 이제 내 생각을 늙히지 않기 위해
질문하려 한다.

“요즘은 어떤데?”

그 질문은
내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
내 딸이 나를 보며 이렇게 말하길 바란다.

“아빠는 나이만 먹었지,
마음은 여전히 연처럼 가볍구나.”

 

*관련글 보기

bungpoet

Recent Posts

“사막을 걷는 법: 낙타처럼 천천히, 그러나 단단하게”

사막처럼 메마른 일상 속에서, 낙타는 어떻게 버티고 나아갈까. 작은 오아시스에서 배우는 느림과 절제, 그리고 삶의…

19시간 ago

사이버 운세를 읽으며 – 디지털 화면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이야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2일 ago

가을 저수지의 파문처럼 – 말 없는 시간 속 이해에 대하여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3일 ago

장독대 앞 정화수, 어머니의 새벽 기도 — 잊히지 않는 삶의 풍경

새벽마다 장독대 앞 정화수 위에 기도하던 어머니. 그 조용한 떨림이 내 안에서 지금도 살아 숨…

4일 ago

“가장 사랑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날, 나는 다시 태어났다”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5일 ago

“한 달 시한부, 청년의 미소에 피어난 은행잎 — 삶을 노래한 마지막 가을”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