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생각이 유연하다고 믿어왔다.
젊은이들을 존중했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려 애썼으며,
내 기준이 그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기를 바랐다.
그런 나를 보며 친구들은 “너는 안 늙는다”고 말하곤 했다.
어느 겨울날, 교실에서 수업 중 아이들과
‘추억’에 대해 이야기 나누던 순간이었다.
“나는 어릴 때 달력을 찢어 연을 만들었단다.
갈퀴살 하나하나 깎아서….”
내 말에 한 학생이 고개를 들었다.
“우린 드론 날려요.”
말은 짧았지만, 그 표정은 길었다.
그 말에 나는 잠시 멈췄고,
창밖의 바람만 바라봤다.
그 순간, 내 기억 속의 연이
잠시 흔들리며 멀어지는 느낌이었다.
며칠 뒤, 딸과 함께 길을 걷다
젊은 여성들이 담배를 피우는 장면을 마주했다.
나는 미간을 찌푸리며 말했다.
“요즘은 여자들도 담배를 피우는구나.”
딸은 내 눈을 가만히 보며 물었다.
“아빠는 왜 여자한테만 놀라?”
그 말에 나는 말을 잃었다.
그 침묵은 길었고, 생각보다 묵직했다.
그날 밤, 오래된 기억 하나가 떠올랐다.
대학교 시절, 내 앞에서
긴 머리를 묶고 담배를 꺼내 들던 동기.
당시 나는 ‘멋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왜 지금은 다르게 느껴졌을까.
시간이 바뀌어서일까?
아니면 내가 바뀐 걸까?
나는 이제 안다.
나이가 든다는 건 단지
세월이 흐르는 일이 아니다.
시간이 쌓일수록 우리는
기준이라는 이름의 벽을 하나씩 더 세운다.
젊음을 이해한다고 믿었던 그 마음조차,
결국은 과거에 기대어 있었음을 인정해야 했다.
나는 여전히 연을 좋아한다.
종이 결을 따라 흐르는 바람,
손끝으로 느끼는 하늘의 진동.
하지만 이제는, 그 연이
가끔은 실없이 날아가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드론처럼 날렵하지 않아도,
엉성한 꼬리를 달고도
하늘을 향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사람은 누구나 조금씩 늙는다.
문제는 몸보다
생각이 먼저 굳는다는 데 있다.
나는 이제 내 생각을 늙히지 않기 위해
질문하려 한다.
“요즘은 어떤데?”
그 질문은
내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
내 딸이 나를 보며 이렇게 말하길 바란다.
“아빠는 나이만 먹었지,
마음은 여전히 연처럼 가볍구나.”
*관련글 보기
사막처럼 메마른 일상 속에서, 낙타는 어떻게 버티고 나아갈까. 작은 오아시스에서 배우는 느림과 절제, 그리고 삶의…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