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수필

말이 씨가 된다 –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일어날 것만 같아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아.”

누가 들으면 낙관적인 말버릇쯤으로 치부할지 모르지만,
그 말을 꺼내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교실 문을 열기 전, 나는 매일같이 속으로 중얼거린다.

그 말이 내 하루를 지탱해주기 때문이다.

학교라는 공간은 아이들의 온도로 움직인다.
어떤 날은 그 온기가 따뜻하게 다가오고,
또 어떤 날은 지독히도 삐딱한 감정이 교실을 가득 채운다.

아이들은 말보다 표정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나는 그 미묘한 틈을 읽어야 하는 사람이다.

책상 위 교과서보다 더 어렵고,
시험지보다도 더 예측 불가능한 것이
바로 교실의 공기다.

그래서 나는 어느 날부터 나 자신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아.”

그건 아이들을 향한 주문이자,
나 스스로에게 건네는 기도 같은 말이었다.

물론 모든 날이 그렇지는 않다.
며칠 전만 해도 나는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있었다.

아무리 따뜻한 말을 건네도 삐딱하게 굴던 한 아이.
수업시간에 무표정하게 창밖만 보던 그 아이.
나는 마음속에서 자꾸 물었다.

“왜 이 아이는 내 말에 반응하지 않을까?”
“내가 부족한 걸까?”

그날, 퇴근하려던 내게 그 아이가 다가왔다.
말 없이, 종이 한 장을 내밀었다.

삐뚤삐뚤한 글씨로 이렇게 적혀 있었다.

“선생님, 저도 잘하고 싶어요.
말은 못하지만, 선생님이 저를 믿어주는 것 같아서요.”

나는 그날, 조용히 교무실에서 눈물을 삼켰다.
그 아이의 침묵 속에도, 말이 있었던 것이다.

내가 매일 반복하던 그 말이 씨앗이 되어,
아주 천천히, 그 아이 마음속에 싹튼 건 아닐까.

우리는 너무 자주 ‘결과’만 바라본다.
아이의 성적, 반응, 표정.

하지만 교육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라는 걸
나는 매일 새로 배운다.

그 과정의 출발은 결국 ‘말’이다.

내가 어떤 말을 믿느냐에 따라
교실의 공기도 조금씩 달라진다.

오늘도 나는 같은 말을 되뇐다.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아.”

어쩌면 그 좋은 일은
누군가의 작은 웃음일지도 모른다.

혹은 수업 끝나고 들리는

“수고하셨어요”라는 짧은 인사일 수도.

아니면, 어제보다 조금 더
나를 믿어준 아이의 눈빛일지도 모른다.

말이 씨가 된다는 건,
그 말이 현실을 바꾼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먼저,
내 마음의 자세를 바꾸는 씨앗이 된다는 뜻이다.

나는 오늘도 교실로 향하며,
그 씨앗을 품는다.

“오늘은 왠지 좋은 일이 일어날 것만 같아.”

 

*관련글 보기

bungpoet

Recent Posts

사이버 운세를 읽으며 – 디지털 화면 속에서 길을 찾는 인간의 이야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8시간 ago

가을 저수지의 파문처럼 – 말 없는 시간 속 이해에 대하여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1일 ago

장독대 앞 정화수, 어머니의 새벽 기도 — 잊히지 않는 삶의 풍경

새벽마다 장독대 앞 정화수 위에 기도하던 어머니. 그 조용한 떨림이 내 안에서 지금도 살아 숨…

2일 ago

“가장 사랑했던 사람에게 상처받은 날, 나는 다시 태어났다”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3일 ago

“한 달 시한부, 청년의 미소에 피어난 은행잎 — 삶을 노래한 마지막 가을”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

4일 ago

“늙는다는 건 남겨두는 일 – 어머니의 마지막 고무줄”

늙으신 어머니가 바지 고무줄을 묶는 장면에서 시작되는 감성 수필. 늙는다는 것의 진짜 의미와 남겨진 말들을…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