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동네에 아카시아 향이 번지기 시작하면
나는 어김없이, 그 애를 떠올린다.
5학년 봄,
나는 먼지를 뒤집어쓴 듯한 아이였다.
운동화를 벗으면 양말에 발가락이 비칠 만큼,
매일 뛰어다니며 놀았다.
하굣길은 늘 똑같았지만,
그날그날의 이유는 달랐다.
누군가는 고양이를 따라가고,
나는 꽃길을 따라갔다.
아카시아는 언제나 길가에 피어 있었고
하얗게 핀 꽃잎 아래서는
누구든 시인이 될 수 있었다.
우리는 배가 고프면 꽃을 따먹었고,
지치면 나무 밑에 드러누워
햇살을 똑같이 나눠 가졌다.
그날도 그랬다.
나는 흙바닥에 앉아
아카시아 꽃잎을 손톱으로 반 갈라보고 있었다.
그 애는,
서울에서 전학 온 그 애는
조용히 다가와 내 옆에 앉았다.
말도 없이,
아무 이유도 없이.
잠시 후, 그 애가 말했다.
“이 꽃, 꿀맛 나지 않아? 난 싫던데.”
나는 아무 말 없이
방금 갈라놓은 꽃잎 하나를 들어
그 애 손바닥 위에 살며시 얹었다.
그 애는 나를 빤히 보다가,
작은 한숨을 쉬더니
그 꽃을 책 사이에 끼워 넣고 일어났다.
그게 다였다.
그날 이후로 그 애는
내 옆에 더는 오지 않았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그날 이후 나는 꽃잎을 따먹지 않게 되었다.
그 길은 지금 도로가 되었고,
그 나무는 없어진 지 오래지만
매년 5월이 되면
그날의 장면이 필름처럼 되감긴다.
책갈피에 끼워 넣은 한 송이의 꽃처럼,
그 애는 내 기억에 눌린 채로 남아 있다.
나는 지금도 묻는다.
그 애는 지금 어디에서,
누군가에게 또 꽃을 받았을까?
이번엔…
그 꽃을 그냥,
받아주었을까?
*관련글 보기
디지털 화면 속에서 위로를 찾는 한 청년의 이야기. ‘다시 시도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풍든 저수지에서 떠올린 부모님과의 기억. 먼저 떠난 어머니, 말없이 남아있던 아버지, 그리고 지금은 모두 사라진…
가까운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가장 깊습니다. 아버지의 무시, 아내의 무관심, 친구의 배신으로 무너졌지만, 그 아픔…
한 달 시한부 선고를 받은 청년이 항암 치료 중 가을의 은행잎을 바라보며 웃는다. 고통 속에서도…